웹(WWW), 웹 표준, 웹 접근성
웹 접근성 국가인증 기관
국가에서 지정한 공인인증기관은 3곳 입니다.
-. 웹와치
-.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
-.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
웹/모바일 접근성 지침
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0 (링크)
표준자료실 - 상세 | 웹 접근성 연구소1
표준자료실 HOME > 정보마당 > 표준자료실
www.wah.or.kr:444
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(링크)
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| 웹 접근성 연구소
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HOME > 지식마당 > 개발자아카이브 >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본 표준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. 본 표준에 포함된 지침들은 웹 콘텐츠 저자, 웹 사이트 설계자들이 관련된 지침을 준수하여 접근성(Accessibility)을 보장하는 웹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기
www.wah.or.kr:444
웹 접근성 정보 사이트
널리 : Sharing is Victory! : NULI
nuli.navercorp.com
https://www.wah.or.kr:444/index.asp
웹접근성 연구소
www.wah.or.kr:444
iOS 모바일 앱 접근성 제작기법 (링크)
기타 자료실 - 상세 | 웹 접근성 연구소1
기타 자료실 HOME > 정보마당 > 기타 자료실 기타 자료실 상세보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제작기법(iOS) 작성일 2016-04-28 작성자 송재일 첨부파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제작기법(iOS)애플 iOS 운영체계에서의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해설서입니다.많은 이용과 의견을 부탁드립니다. 이전글 웹 접근성 홍보 리플렛 다음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제작기법(안드로이드) 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. 장애에 구애없
www.wah.or.kr:444
Android 모바일 앱 접근성 제작기법 (링크)
기타 자료실 - 상세 | 웹 접근성 연구소1
기타 자료실 HOME > 정보마당 > 기타 자료실 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.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. (The power of the Web is in its universality, Access by everyone regardless of disability is an essential aspect.) 팀 버너스 리 경 - 웹의 창시자 (Tim Berners - Lee , W3C Director an
www.wah.or.kr:444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웹접근성]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/ 6 ~ 16 (0) | 2020.05.14 |
---|---|
[웹접근성]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 / 17 ~ 24 (0) | 2020.05.12 |
[웹기획] | 고객의 실수를 유도하는 설계(예시) (0) | 2020.05.11 |
2018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( ~ 2019년 8월 31일) (0) | 2019.01.16 |
[앱 접근성] 모바일 앱 접근성(MA) 시행령 (0) | 2018.09.19 |